1. 로컬에서 커밋시, 전 날짜로 커밋하기

git commit --date "n day ago"

 

2. 특정 날짜로 커밋하기

git commit --date "Tue Feb 27 20:00:00 2024 +0900"

'VCS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원격 저장소 복제, git clone  (0) 2021.11.21

현재 프로젝트에서 SVN을 써서 정리해두기로 했다.

 

synchronize : 로컬에 있는 코드와 리모트의 코드가 어디가 상이한지 알려준다.

- 보고 달라진 곳을 알맞게 맞추면 된다. 

 

update : 리모트에 새로 갱신 된 코드를 로컬에 추가한다.

- 작업 중에 리모트에서 새로 커밋 된 코드를 로컬로 받아올 때 사용한다.

 

commit : 싱크맞추기 > 업데이트 > 커밋 순으로...

- 커밋 전 반드시 빌드가 정상적으로 되나 테스트를 해야한다.

  꼭.... 예상치 못했던 실수가 발견될 수 있다.

 

checkout : 리모트에 있는 프로젝트를 로컬로 전부 가져온다.

- 처음 프로젝트를 받아올 때나, 코드에 문제가 생겨서 전부 새로 받아와야할 때 사용하면 된다.

 

 

 

 

 

 

개발자를 지망하면서 자주 듣게 된 Git.

요즘은 깃과 친해져보려고 이것저것 만져보고 배우는 중이다.
깃이란 무엇이냐면 깃은 형상관리 도구
 프로그램의 버전 관리에 수월함을 더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설명하면 사실 나처럼 초보자들은 잘 와닿지가 않는다. ^^;
 
우선 간단히 설명하자면 깃을 사용하여 팀 프로젝트를 진행 할 시, 
팀원들과의 코드 공유가 쉬워지고 (다수가 동시 개발 가능)
리포지토리를 이용해 코드 보관, 공유가 가능하며 
코드를 저장, 삭제, 수정할 시 기록이 남는다.
이러한 특징들 때문에 깃을 포트폴리오로 사용하는 사람들도 많다. 

 

나도 변변찮지만 깃을 관리하며 개발자로서 성장과정을 기록중이다.
어쨌든 이번엔 깃 리포지토리에 코드를 저장하기 위해 pc에 원격 저장소를 복제하는 법을 기록 해볼까 한다.
깃에 코드를 올리려면 깃 배쉬를 쓰는게 편하므로 미리 받아놓는 것을 추천한다!
 

 

 
1. 먼저 깃에서 복제할 리포지토리 주소를 복사한다.
 
 
 
2. PC에 복제 리포지토리를 만들고 싶은 곳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깃 배쉬를 연다.
 
3. git clone 리포지토리 주소 
 
명령어 입력 후 엔터 
( 깃 배쉬에서 붙여넣기는 쉬프트+insert )
 
 
 
4. 배쉬를 열었던 폴더에 복제 리포지토리가 만들어 졌다.
 
 
 
 
 
 

'VCS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commit 날짜 지정하여 커밋하기  (0) 2024.06.2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