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크론탭 명령줄 옵션

# (현재 유저에)크론탭 설정(수정)
crontab -e

# (현재 유저에)등록 된 크론탭 리스트
crontab -l

# (현재 유저에)등록 된 크론탭을 모두 삭제
crontab -r

 

2. 크론탭 등록하기

2-1. 명령줄로 등록

crontab -e
# 자신에게 편한 에디터 선택 후, 수정.
# 예시 포맷
#
# ...
# * * * * * root test-crontab /data/test.sh

 

2-2. /etc/cron.d 에 스크립트로 등록하기

cd /etc/cron.d
vi 크론탭스크립트명
# 예시 포맷 backup-crontab.sh
# 01 * * * * root test-script /data/test.sh
# 55 23 * * * root mid-night-script /data/mid-night-backup.sh

 

3. 크론 스케줄

 

0-59() 0-23() 1-31() 1-12() 0-6(요일)

 

예 )

 

* * * * 0 -> 매주 일요일마다

0 0 * * * -> 자정마다

* * 25 12 * -> 크리스마스마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 사용법  (0) 2023.11.17
리눅스에서 vi 없을 때 파일 작성 방법  (0) 2023.11.02
리눅스 쉘 스크립트 기초 연습  (0) 2022.12.07
Linux 로그 파일 다뤄보기  (0) 2022.03.12

 
1. 커서 이동
h,j,k,l  기본 커서 이동, 순서대로 좌 하 상 우
w,b 단어 단위로 점프(부호도 단어로 취급), 앞으로/뒤로
W,B 공백 기준으로 점프, 앞으로/뒤로
0 이나 ^ 커서가 위치한 행의 처음으로 이동
$ 커서가 위치한 행의 마지막으로 이동
gg  파일의 처음으로 이동
G 파일의 마지막으로 이동
( , ) 문장의 처음/끝으로
{ , } 문단의 처음/끝으로
숫자 지정 행 번호로 이동

 

2. 커맨드

u 작업 취소
Ctrl + c 취소한 작업 재실행
:e 새로 불러오기
:wq 저장하고 Vi 닫기
ZZ 저장하고  Vi 닫기

 

3-1. 편집

v 모드 변환 후, norm i# 비주얼 모드로 변환하여 블록 지정 후, 전체 주석 처리
:se nu 행 수를 확인

 

3-2. 입력

o 다음 행에 입력
a 커서 다음 입력
i 커서부터 입력

 

4. 검색

/검색할 문자 파일에서 해당 검색어를 검색
n 다음 검색
b 이전 검색

 
가끔 pod 안에 들어가서 작업 할 때, 
vi(등..텍스트 편집기) 없이 작업해야 할 때가 있다.
 
 
1. 내용이 간단할 경우
echo "host: 127.0.0.1" > hosts

 

 

 

2. 내용이 복잡할 경우 (한줄로 안 끝나거나...)

cat <<EOF > deploy.yml
> apiVersion: apps/v1
> kind: Deployment
> metadata:
   .
   .
   .
> EOF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크론탭(linux crontab) 설정  (1) 2024.01.04
vi 사용법  (0) 2023.11.17
리눅스 쉘 스크립트 기초 연습  (0) 2022.12.07
Linux 로그 파일 다뤄보기  (0) 2022.03.12
#!/bin/sh

# 실행
./shellName.sh
sh shellName.sh
bash shellName.sh

# print
read NAME 
# 로그인 유저 이름을 출력한다. -e는 공백

echo "Hello, $NAME" 
# 문장과 로그인 유저 이름을 출력한다.

# variable 
# 변수는 영어,숫자,언더바만 사용한다.

# Scripting

#!/bin/sh 
#쉘 스크립트 시작

if ["$1" -gt "$2"]
then 
	echo "첫번째 변수가 더 큽니다."
elif ["$1" -eq "$2"]
then 
	echo "첫번째 변수와 두번째 변수가 같습니다."
else
	echo "두번째 변수가 더 큽니다."
fi 
#if 문 종료


#!/bin/sh
DRINK="coffee"
case "$DRINK" in
	"beer") echo "drink beer" ;;
	"juicy") echo "drink juciy" ;;
	"coffee") echo "drink coffee" ;;
esac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크론탭(linux crontab) 설정  (1) 2024.01.04
vi 사용법  (0) 2023.11.17
리눅스에서 vi 없을 때 파일 작성 방법  (0) 2023.11.02
Linux 로그 파일 다뤄보기  (0) 2022.03.12

에러 분석을 할때마다 로그파일의 중요성을 매번 느낀다.

현 프로젝트가 리눅스 서버를 이용하고 있어서 리눅스 명령어에 대한 정리를 남겨보고자 한다. 

  

 

cat 로그파일명

: 해당 로그 파일을 연다.

 

 

tail 로그파일명

: 해당 로그 파일의 마지막 10줄을 보여준다.

 

 

tail -n숫자 로그파일명

: 로그 파일의 마지막 '숫자'만큼의 줄을 보여준다.   

 

 

grep '찾을문자' 로그파일명

: 해당 로그 파일에서 지시한 문자가 포함된 줄을 찾아서 출력한다.

 

 

cat 로그파일명 | grep -A숫자 '찾을문자'

: 해당 로그 파일에서 지시한 문자가 포함된 줄 아래로 '숫자' 줄 만큼 추가로 출력한다.

 

tail -f 로그파일명

: 실시간으로 해당 로그파일을 출력한다.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크론탭(linux crontab) 설정  (1) 2024.01.04
vi 사용법  (0) 2023.11.17
리눅스에서 vi 없을 때 파일 작성 방법  (0) 2023.11.02
리눅스 쉘 스크립트 기초 연습  (0) 2022.12.07

 
 
 
Double-click
 
Select to translate

 

1. cd '디렉토리명'

ex) cd Documents

: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2. dir

: 현재 위치의 파일 목록을 확인한다.

 

3. Ctrl + c

: 모든 명령 종료

 

4. mkdir '폴더명'

: 해당 위치에 폴더 생성

 

5. rmdir '폴더명'

: 해당 폴더를 삭제

5-1. rmdir /s '폴더명'

: 해당 폴더와 하위 디렉토리 모두 삭제

 

6. '프로그램명' --version

ex) javac --version

: 해당 프로그램 버전을 확인한다.

 

7. ipconfig

: ip 주소 정보를 출력한다. 옵션으로 /al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