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sible 설치 확인
ansible --version

# 관리 노드 ping test
ansible <그룹명, 혹은 all> -i <인벤토리 경로> -m ping 

# ansible playbook 실행
ansible-playbook -i <인벤토리 경로> <플레이북 경로>

 
 
 
Double-click
 
Select to translate

 

## 차트 배포 (인스톨/언인스톨)
helm install 릴리즈명 차트위치
ex) helm install zabbix zabbix-chart.tar

helm uninstall 릴리즈명

## 릴리즈 확인
helm ls -n 네임스페이스명

'Infra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VM 네트워크 설정 : 포트 포워딩  (0) 2023.11.01
[kubernetes] 클러스터 node 삭제  (1) 2023.10.06
헬름(Helm) 개념  (0) 2023.03.13

 
 
 
Double-click
 
Select to translate

 

 
 
 
Double-click
 
Select to translate

 

 

# 로컬의 a.tar를 컨테이너 안의 /home/user/로 복사하기

docker cp a.tar 컨테이너명:/home/user/

# 컨테이너 안의 파일 /home/b.tar를 로컬 현재 위치로 복사하기

docker cp 컨테이너명:/home/b.tar .

# 파일 잘 옮겨갔는지 컨테이너에서 확인... (bash로 컨테이너 내부 접속)

docker exec -it 컨테이너명 bash

'Infra >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기본 명령어  (0) 2023.02.05

 
VM 환경에 띄워진 Pod에 접속하기 위한 포트 포워딩 방법을 기록한다.

 

 

사용한 툴 : 오라클 Virtual box  7.0

 

호스트 IP : localhost

호스트 포트 : local (Window)에서 사용 가능한 포트 할당

게스트 IP : 띄워진 가상 머신들의 IP

게스트 포트 : 가상 머신에 뜬 Pod 혹은 App의 포트 매핑 ( 22 SSH Port )

'Infra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lm 명령어  (1) 2023.12.11
[kubernetes] 클러스터 node 삭제  (1) 2023.10.06
헬름(Helm) 개념  (0) 2023.03.13

 
클러스터 node 삭제 순서를 기록한다.
 
 
1. 클러스터의 노드 목록 확인
kubectl get nodes​
 

 

2. 클러스터의 pdb 확인

kubectl get pdb -A

 

2-1. pdb 백업

kubectl get pdb -A -oymal > backup-pdb.yaml

 

2-2. pdb 삭제

kubectl delete pdb -f backup-pdb.yaml

 

3. 삭제 할 노드 cordon

kubectl cordon 노드명

 

4. 삭제 할 노드의 pod drain

kubectl drain 노드명 --ignore-daemonsets --force

 

5. 노드 삭제

kubectl delete 노드명

 

6.노드 확인 및 core system 상태 확인

kubectl get node
kubectl get po -n kube-system
...

 

'Infra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lm 명령어  (1) 2023.12.11
VM 네트워크 설정 : 포트 포워딩  (0) 2023.11.01
헬름(Helm) 개념  (0) 2023.03.13

헬름이란?

: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을 차트라는 개념으로 묶어서 한번에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툴.

차트로 리소스들을 묶어 한번에 배포가 가능하며,

템플릿과 밸류라는 파일로 배포 옵션 및 속성 등을 동적으로 할당해 줄 수 있다.

차트 리포지토리에 차트 저장 및 공유가 가능함

 

 

차트의 주요 구성

: Chart, Templates, Values

 

1) chart.yaml

: 차트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템플릿에서 참조 가능한 파일

 

2) template

: template 디렉토리 안에 쿠버네티스 리소스들이 yaml형식으로 담겨있다.

데이터를 동적으로 매핑해주기 위해 GoLang의 템플릿 문법이 쓰였음.

 

3) values.yaml

템플릿의 yaml파일들이 참조하는 파일.

일반적으로 배포 환경마다 values파일을 달리해, 각기 환경에 알맞는 값을 할당한다.

'Infra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lm 명령어  (1) 2023.12.11
VM 네트워크 설정 : 포트 포워딩  (0) 2023.11.01
[kubernetes] 클러스터 node 삭제  (1) 2023.10.06

+ Recent posts